본문 바로가기
품질관리

품질과 비용의 관계 - 비용을 많이 쓰면 정말 품질이 향상되는 것일까?

by 잇츠온리원 2022. 6. 20.
반응형
비용을 많이 쓰면 정말 품질이 향상되는 것일까?

품질과 비용의 관계

이런 궁금증을 한번쯤 가져보셨을겁니다. 정말 비용을 많이 쓰면 품질이 향상되는 것일까요?

품질과 비용의 관계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그리고 정말 비용을 많이 쓰면 품질이 향상되는 것인지에 대한 것도 함께 생각해보겠습니다.

 

먼저 품질과 관련된 비용의 종류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1. 품질비용(Quality Cost)의 정의

재료비, 인건비, 장비사용비 등 제품 생산의 직접적인 비용 외에 불량 감소를 위한 품질활동과 관련된 비용의 일체를 모두 품질비용으로 일컫는다.

 

2. 품질비용의 구분

품질비용은 크게 예방비용, 평가비용, 실패비용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 예방비용: 품질비용을 감소시키고 불량을 미연에 예방하기 위해 발생되는 비용
  • 평가비용: 제품의 품질 특성이 정해놓은 기준에 적합한지에 대한 여부를 측정하고 평가하여 부적합품을 제거하는데 드는 모든 비용
  • 실패비용: 제품이 완성된 후 발생된 불량품의 폐기, 재생산 등을 통해 개선하기 위해 추가로 발생되는 추가 모든 품질비용

3. 1:10:100 법칙

예방비용, 평가비용, 실패비용은 1:10:100의 법칙을 따른다고 합니다. 예방비용을 투자해서 품질문제를 미연에 방지한다면 이후에 평가비용과 실패비용을 크게 줄일 수 있습니다. 하지만 예방을 하지 못해서 이후에 품질문제가 발생된다면 예방비용에 투입될 비용의 10배가 평가비용으로 소비되게 되고 이마저도 제대로 막지 못한다면 불량이 발생되어 100배의 실패비용이 발생될 수 있는 것입니다.

4. 품질과 품질비용의 상관관계

예방비용, 평가비용, 실패비용은 모두 품질비용을 구분한 것입니다. 이러한 비용들이 증가할 수록 품질은 더 향상된다고 볼 수 있습니다. 따라서 비용이 많이 들 수록 품질수준은 높아집니다. 품질에 투자되는 비용이 적을 수록 품질수준은 낮아집니다. 그러므로 품질과 품질비용의 상관관계는 반비례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

 

하지만 앞에서 살펴보았듯이 1:10:100의 법칙에 의하면 예방비용을 많이 사용하여 품질문제를 미연에 방지한다면 이후에 평가비용과 실패비용을 줄일 수 있으므로 품질비용을 낮출 수 있으며 이는 품질의 향상도 가져오게 되므로 무조건적으로 품질과 품질비용의 상관관계가 반비례라고 볼 수는 없다는 것이 저의 의견입니다. 품질문제를 미리 예측하고 미연에 방지하여 품질비용도 절감하며 품질도 향상하는 것이 가장 이상적이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반응형

'품질관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4M이란? - 품질에서 말하는 4M을 관리하는 방법은?  (0) 2022.06.20
품질의 정의와 역사  (0) 2022.06.17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