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업을 준비하는 많은 이들이 궁금해하는 것이 바로 직무에 대한 것입니다. 수많은 기업이 있고, 수많은 직무가 있지만, 내가 가야 할 직무는 어떤 것인지 어떻게 진로를 정하고 가야 할지 잘 모르고 막막하기 때문에 쉽게 정하기 어려운 것도 사실입니다. 그래서 오늘은 직무의 종류와 직무마다 어떤 일을 하는지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합니다.
직무의 종류
직무의 종류는 나눌 수록 더 세분화시켜서 쪼갤 수 있습니다만 크게 분류하자면 다음과 같습니다.
- 경영지원
- 영업
- 구매
- 연구개발
- 생산관리
- 생산
- 생산기술
- 보전
- 물류
- 품질관리
크게 이렇게 나눠볼 수 있습니다. 각각의 파트를 세분화 시켜보도록 하겠습니다.
경영지원
- 인사 - 채용관리, 급여관리, 이직율 분석, 고과 관리
- 교육 - 인재양성, 기업문화
- 총무 - 시설관리, 자산관리, 복리후생
- 법무 - 계약관리, 소송관리
- 노무 - 노사관리
- 안전환경 - 환경법규 관리, 안전관리
- 회계 - 자금관리, 세무관리
- 전산 - 전산관리, 보안관리
영업
- 원가관리, 수주관리
구매
- 구매관리
- 원재료관리
연구개발
- 설계 - 제품 설계, 도면관리
- 개발 - 제품 개발, 협력업체 관리
생산관리
- 생산계획 - 년 생산계획, 월 생산계획, 일 생산계획 관리
- 가동률 분석 - 장비 가동, 비가동 분석
- 사내협력사 관리
- 사내 재고 관리
생산
- 제품 생산
- 생산 작업자 관리 - 근태관리, 경조사 관리, 숙련도 관리
생산기술
- 생산설비 관리
- 설비 도입 및 설계
보전
- 설비보전 - 예방보전, 정기 보전관리, 기계설비 수리
물류
- 납품차량 관리 - 배차
- 사내, 외 재고 관리
- 수출입 관리
- 원산지 관리
품질
- 수입검사 - 수입품 검사
- 공정검사 - 공정 내 불량품 검사
- 품질보증 - 양산품질보증, 필드 보증, 국내 보증, 해외보증
- 변제 관리 - 클레임
- 품질경영시스템 관리 - ISO, IATF 등 인증관리
이 외에 기업의 크기에 따라 여러 직무와 업무가 통합되기도 하며, 더욱 세분화되어 나눠지기도 합니다.
각 직무마다 구체적으로 하는 일은 기업마다 다를 수 있기 때문에 대략적으로 이렇다 정도만 참고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직무별 전공
각 직무마다 추구하는 전공은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습니다.
- 인사, 교육, 노무, 총무 - 경영학과
- 법무 - 법학과
- 회계 - 회계학과
- 전산 - 컴퓨터공학과, IT 관련 전공
- 영업 - 기업의 업종에 따라 다름(기계과, 화학과, 영문과 등 다양함)
- 구매 - 기업의 업종에 따라 다름(기계과, 화학과, 영문과 등 다양함)
- 연구개발 - 기업의 업종에 따라 다름(기계과, 화학과 등 제조업에서는 대부분 이과계열)
- 생산관리 - 경영학과, 산업경영학과, 기계과, 화학과 등 다양함
- 생산 - 기업의 업종에 따라 다름(기계과, 화학과 등 제조업에서는 대부분 이과계열)
- 생산기술 - 기업의 업종에 따라 다름(기계과, 화학과 등 제조업에서는 대부분 이과계열)
- 보전 - 기계과, 전기과
- 물류 - 경영학과, 산업경영학과
- 품질 - 기업의 업종에 따라 다름(기계과, 화학과 등 제조업에서는 대부분 이과계열)
이것은 보편적인 형태만을 언급한 것으로 기업마다 차이가 많이 있습니다. 또한 한 부서 내에서도 여러 명이 함께 업무를 나눠서 하는 경우가 많으므로 필요에 따라 여러 전공자들을 함께 채용하기도 합니다. 실제 사례로 사회과학부 전공자가 생산부에서 근무하는 경우도 있으며, 경제학과 전공자가 품질관리부에서 근무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따라서 이것은 참고사항일 뿐이며 실제 기업에서는 다른 여러 가지 상황이 발생될 수 있다는 것을 꼭 기억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세상에는 절대적인 것도 없고, 불가능도 없습니다. 무엇이든 하고자 하면 할 수 있고, 극복하고자 고민하면 길이 보이는 법입니다.
'자기계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좌우명 만드는 방법 - 유명인의 좌우명은 어떤 것들이 있나 (0) | 2022.06.25 |
---|
댓글